생활체육지도자 2급 등산 구술 정리
by Inchul Baek
스포츠지도사 2급 등산 구술 정리
1.KAF 컴피티션 에어리어 대해 설명하시오
경기지역(Competition Area)은 경기장의 일부를 스포츠 활동에 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모든 격리구역(Isolation Zone)/준비운동지역(Warm-up Area)
b) 모든 대기구역(Call Zone)/트렌짓존(Transit Zone)
c) 다음을 포함한 모든 경기구역(Competition Zone)
ⅰ) 대회의 모든 라운드에 사용되는 등반표면
ⅱ) 등반벽 바로 앞과 옆 지역
ⅲ) 비디오 녹화 또는 재생에 필요한 추가 영역과 같이 안전하고 공정한 경기 수행을 위해 특별히 지정된 다른 영역
2.직접확보,간접확보 설명하시오
직접 확보(Direct Belay): 확보자가 자신의 몸을 확보 장치와 등반자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확보 장치는 확보자에게 연결되고, 확보자는 등반자의 로프를 직접 관리합니다. 이 방식은 확보자가 등반자의 움직임에 더 민첩하게 반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더 많은 집중력과 힘을 요구합니다.
간접 확보(Indirect Belay): 직접 확보는 확보자가 확보 장치를 확보 지점에 직접 연결하고, 등반자의 로프를 그 장치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확보자에게 직접적인 힘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확보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안전하게 등반자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추락계수에 대해 설명하시오
추락계수(Fall Factor)는 암벽 등반에서 추락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추락계수는 추락한 거리를 확보된 로프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추락계수는 0부터 2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0은 전혀 추락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2는 확보 지점 이상의 거리를 추락했을 때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추락계수가 높을수록 추락 시 발생하는 충격이 더 강해집니다.
예를 들어, 확보 지점에서 5미터 위에서 추락했고 확보된 로프의 길이가 10미터라면, 추락계수는 5/10 = 0.5가 됩니다.
추락계수는 등반 장비의 선택과 사용 방법, 그리고 확보 기술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등반자는 가능한 낮은 추락계수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이는 적절한 확보 지점 설정과 로프 관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등반 장비는 특정 추락계수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고 테스트됩니다.
4,경기구역 설명하시오
아래 답변은 스포츠 클라이밍 경기규정내 발췌한것임.
경기지역(Competition Area)은 경기장의 일부를 스포츠 활동에 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모든 격리구역(Isolation Zone)/준비운동지역(Warm-up Area)
b) 모든 대기구역(Call Zone)/트렌짓존(Transit Zone)
c) 다음을 포함한 모든 경기구역(Competition Zone)
ⅰ) 대회의 모든 라운드에 사용되는 등반표면
ⅱ) 등반벽 바로 앞과 옆 지역
ⅲ) 비디오 녹화 또는 재생에 필요한 추가 영역과 같이 안전하고 공정한 경기 수행을 위해 특별히 지정된 다른 영역
chatGPT 답변
클라이밍 벽: 이는 선수들이 경쟁하는 주요 영역입니다. 클라이밍 벽은 경기 종목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스피드 클라이밍은 표준화된 15m 벽에서 진행되며, 리드 클라이밍과 볼더링 벽은 모양, 크기, 디자인이 다양합니다.
격리구역: 또는 “Iso Zone”이라고도 하며, 이곳은 선수들이 경기 전에 다른 선수들의 등반을 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머무르는 곳입니다. 선수들은 자신의 시도가 끝날 때까지 이 영역을 떠날 수 없습니다.
호출구역: 이 영역은 선수들이 자신의 차례가 되기 직전에 등반 준비를 하는 곳입니다. 선수들은 루트를 관찰하거나(리드 클라이밍과 볼더링의 경우) 준비하는 데 특정 시간을 가집니다(스피드 클라이밍의 경우).
관찰구역: 리드 클라이밍과 볼더링에서는 선수들이 시도하기 전에 루트/문제를 관찰하는 데 정해진 시간이 주어집니다. 이는 그룹으로 집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전환구역: 이는 선수들이 호출구역에서 클라이밍 벽까지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5,클립 방법 설명하시오
핀치 클립(Pinch Clip): 이 방법은 로프를 손가락 사이에 집어서, 엄지와 다른 손가락 사이에 ‘핀치’하고, 그 상태에서 카라비너에 로프를 넣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보통 빠르지만, 불안정한 위치에서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스냅 클립(Snap Clip): 이 방법은 손목을 빠르게 흔들어 로프를 카라비너에 ‘스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로프를 빠르게 클립할 수 있지만,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6,경기장에 출입할수 있는사람에대해 설명하시오
아래에 열거된 사람만이 경기지역에 입장하는 것이 허용된다
A) KAF 경기 임원
B) 대회 조직위 임원
C) 현재 라운드에 참가할 자격이 있는 선수
D) 권한을 부여받은 공인된 팀 임원 (격리구역/준비운동지역에 한함)
E) 그 외 사람은 심판위원장에게 특별히 승인받아야 한다. 그들이 경기지역에 머무르는 동안 경기지역의 안전 및 보안 유지와, 선수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식 안내자의 동행과 감독을 받아야 한다.
동물은 경기지역을 출입할 수 없다. 단, 심판위원장이 승인하면 출입이 가능하다.
7,KAF 클라이밍 경기방식 설명하시오
3.1 스포츠클라이밍 대회는 개별종목 또는 콤바인 종목으로 구성하여 열린다.
A) 리드: 선수는 1개 또는 2개 루트에서 등반한 거리(높이)로 순위가 결정된다.
B) 볼더: 선수는 완등한 볼더의 수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C) 스피드: 선수는 공식 루트를 오르는 데 소요된 시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8,카라비너 의 종류 에대해 설명하시오
O형 카라비너 Oval Carabiner
다목적 용도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카라비너입니다. 대칭형이라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어요.
D형 카라비너 D Shape Carabiner
여러 용도에 적합하고, 긴 축으로 하중이 더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O형보다 강도가 높아요.
변형 D형 카라비너 Asymmetric D Shape Carabiner
D형의 장점을 갖고 있고 개폐구가 더 넓어 조작이 쉽습니다.
밴트게이트 카라비너 Bentgate Carabiner
밴트게이트 카라비너는 손가락을 걸어 열기 쉽게 개폐구를 휘어놓은 카라비너예요.
등반 도중 카라비너를 빨리 걸고 빼야 하는 어려운 루트에서 힘이 덜 들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 카라비너는 로프 충격이 오는 각도에서 개폐구가 열리는 경우가 있어요.
• (주사용목적) 퀵드로 연결
와이어게이트 카라비너 Wiregate Carabiner
다른 카라비너에 비해 가볍고 강도도 높은 카라비너입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이 카라비너는 로프가 카라비너를 빠르게 통과할 때 개폐구의 떨림 현상이 다른 카라비너에 비해 덜하다고 해요.
잠금 카라비너 Locking Carabiner
잠금카라비너는 개폐구의 한쪽 끝 위에 스크류 덥개가 있어 개폐구가 우연히 열리는 것을 최소화해주는 카라비너예요.
잠금 카라비너는 하강/등반자 확보/본인 확보 등에서 안전도를 높여줍니다.
하지만 잠금 카라비너라고 해도 방심은 금물! 항상 사용 전 꼭 제대로 잠겼는지 확인하고 사용해야 해요.
• (주사용목적) 빌레이/확보 시
HMS 카라비너 Halbmast Wurf Sicherung Carabiner
서양 배 모양을 한 이 카라비너는 개폐구 한 쪽 끝에 잠금장치가 달려 카라비너가 열리는 것을 방지해주고,
개폐구가 크게 열려 하프 클로브 히치 방식으로 확보를 볼 때 로프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줘요.
안전을 요하는 곳에서 2개의 카라비너를 개폐구가 반대 방향이 되도록 겹치게 사용하면 잠금 카라비너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트윈게이트 카라비너 Twingate Carabiner
개폐구가 이중으로 되어있어 보다 안전한 형태의 카라비너
9,등반의종류 설명하시오
암벽등반(Rock climbing): 암벽등반은 볼더링(Bouldering), 스포츠 등반(Sport climbing), 전통 등반(Trad climbing), 경쟁 등반(Competition climbing) 등을 포함한다. 최소한의 안전 장비만을 착용한 후 암벽을 오르는 행위이다.
빙벽등반(Ice climbing): 크램폰과 아이스 액스를 이용하여 빙벽과 단단한 설사면을 오르는 행위이다.
고산등반(Mountaineering): 알프스나 히말라야, 안데스 산맥등에 있는 고산을 오르는 행위이다. 주로 크램폰과 아이스 액스를 이용하여 빙벽과 암벽을 둘 다 오르는 혼합 등반(Mixed climbing)을 한다. 보통 등반 계의 막장이라고 한다. 알 수없는 산의 날씨와 툭하면 무너지는 눈더미(눈사태) 가장 위험하며 도전적인 등반이다. 하지만 요즘은 상업적인 등반도 성행하기 때문에 돈만 많다면 현지인 셰르파를 고용하여 하드캐리 받으면 된다.
10,2024년 파리올림픽 경기방식 설명하시오
모르것는디?
2022 생활체육지도자 2급 등산 구술 에서 나온 문제 입니다
1.볼더링종목 설명(볼더링이 무엇인지)
5.볼더의성공 요인에 대해서 설명하시요
B) 성공으로 판정하고 심판은 한손을 들고 "OK"라고 알린다.
1) 선수가 완등홀드에 두 손을 모아서 안정적으로 통제된 자세를 취한 경우
2) 볼더의 꼭대기에 서 있는 자세
6.볼더의실패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요
A) 다음의 경우에 실패로 판정하고 심판은 관련 시도를 종료하도록 지시한다.
1) 선수가 부정확한 자세로 출발을 했을 경우
2) 선수가 바닥을 떠난 후에 안전매트에 접촉했을 경우
3) 등반허용시간이 종료되었을 경우
4) 선수가 불법적인 도움을 받은 경우
8.스피드 경기에서 공식인증에 대하여 말 하세요
A) 스피드 경기는 다음의 요구를 충족하여 개최하여야 한다.
1) IFSC Speed Licence Rules이 정한 사양에 따라 설계된 인공구조물에서 개최해야 한다.
2) IFSC 또는 대산련이 승인한 전자 계측시스템을 사용하여 개최해야 한다.
3) IFSC 또는 대산련이 승인한 자동 확보시스템을 사용하여 선수를 위에서 확보하는 방식으로 개최해야 한다.
9.볼더링 청소 방법
8.14 시도횟수가 점수에 반영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선수는 대회 조직위가 제공하는 솔과 기타 도구만 청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볼더의 청소는 다음을 따른다.
A) 선수는 어떠한 홀드도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서 닿는 볼더의 부분을 청소할 수 있다.
B) 볼더의 청소를 요청할 수 있다.
10. 볼더링 루트 설계
8.2 볼더의 설계
A) 각 볼더는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야 한다.
1) 선수의 추락으로 자신의 부상과 제3자나 다른 선수들의 부상이나 방해의 가능성이 없도록
2) 하향 점프가 없도록
B) 한 볼더에서 최대 손 홀드 수는 12개이고, 한 라운드에서 평균 손 홀드의 수는 4~8개로 한다.
C) 각 볼더는 다음을 구분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1) “출발홀드”는 두 손과 두 발을 위한 것으로, 등반표면의 비어 있거나 경계가 없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출발홀드에 손의 좌‧우 특정 위치를 표시해서는 안 된다.
2) “존홀드”는 현저히 다른 경기력을 가진 선수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배치해야 한다.
3) “완등”은 다음 중 하나로 해야 한다.
a) 지정된 완등 홀드 (“TOP 홀드”)
b) 볼더의 꼭대기 위에 서는 자세
D) 각 볼더에 사용된 표식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출발홀드와 완등은 같은 하나의 색으로 표시
2) 존홀드는 다른 색으로 표시 등반벽에 어떤 경계를 구분할 때는 또 다른 색을 사용한다.
등반벽에 어떤 경계를 구분할 때는 다른 색을 사용한다. 이러한 표시의 예는 경기 전체기간 동안 동일해야 하고, 그 예를 격리구역 내에 설치해야 한다. ### 12. 볼더링 이의신청 기간 8.25 이의신청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A) 선수의 시도와 관련된 이의신청인 경우
1) 관련 선수가 구두로 신청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 수수료는 필요하지 않다.
2) 팀 임원이 신청한다면, 서면으로 해야만 하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1), 2)의 경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a) 예선 또는 준결승 라운드의 경우, 다음 로테이션이 끝나기 전에 제기하여야만 한다.
b) 결승 라운드와 관련하여, 다음 선수의 시도가 시작되기 전에 제기해야만 한다.
B) 선수의 성적과 순위에 관련된 이의신청은 서면으로 해야만 하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1) 예선라운드 또는 준결승 라운드에 대한 이의신청은 공식결과 발표 후 5분 이내에
2) 결승 라운드와 관련된 이의신청은, 관련선수의 예비결과 게시된 후에 즉시 (또는 예비결과가 게시되지 않은 경우, 공식결과 게시 후 즉시)
13. 리드 경기의 루트 설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A) 각 루트는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야 한다.
1) 선수의 추락으로 자신의 부상과 제3자나 다른 선수들의 부상이나 방해의 가능성이 없도록
2) 하향 점프가 없도록
B) 심판위원장은 다음을 승인할 수 있다. 가능한 루트를 설계할 때 다음의 예방책이 필요하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
1) 하나 또는 그 이상 확보지점에 미리 등반로프를 고정
2) 선수가 낮은 부분을 등반하는 동안에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위해 루트의 시작점에 보조 확보자를 배치
14. 볼더링 결승 경기 관찰 절차에 대해 설명하시오
관찰 절차
8.12 관찰
A) 예선 라운드와 준결승 라운드는 별도의 관찰시간이 없다.
B) 결승 라운드는 해당 경기 전 각 볼더 당 2분의 단체 관찰시간이 선행되어야 한다.
1) 관찰시간 동안, 선수들은(※두발이 바닥을 떠나지 않은 채) 출발홀드만 만질 수 있고 어떤 기록장비도 사용할 수 없다.
2) 관찰시간이 끝난 후, 선수들은 KAF경기임원(심판)의 지시에 따라서 격리구역 또는 트랜짓존으로 돌아가야 한다.
C) 각 볼더의 사진이나 스케치를 격리구역 또는 관련있는 볼더의 트랜짓존에 게시할 수 있다.
15. 볼더링 경기 이의제기 시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A) 선수의 시도와 관련된 이의신청인 경우
1) 관련 선수가 구두로 신청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 수수료는 필요하지 않다.
2) 팀 임원이 신청한다면, 서면으로 해야만 하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1), 2)의 경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a) 예선 또는 준결승 라운드의 경우, 다음 로테이션이 끝나기 전에 제기하여야만 한다.
b) 결승 라운드와 관련하여, 다음 선수의 시도가 시작되기 전에 제기해야만 한다.
B) 선수의 성적과 순위에 관련된 이의신청은 서면으로 해야만 하며 이의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다.
1) 예선라운드 또는 준결승 라운드에 대한 이의신청은 공식결과 발표 후 5분 이내에
2) 결승 라운드와 관련된 이의신청은, 관련선수의 예비결과 게시된 후에 즉시 (또는 예비결과가 게시되지 않은 경우, 공식결과 게시 후 즉시)
16. 국내 스피드 공식기록이 인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9.3 국내기록은 경기 중 만들어진 기록만 인정(즉 연습 기간이나 경기 중이 아닌: 포기 또는 취소된 레이스의 경우 인정하지 않음)되며 다음의 조건을 따른다.
A) 국내기록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IFSC 및 대산련에 의해 인증된 등반벽, 홀드, 계측시스템, 오토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B) 대산련에 의해 기록경기로 지정된 경우
C) 대산련에 의해 임명된 심판위원장이 조직/운영하는 경기인 경우
D) 대회 조직위가 국내 규정에 따라 관련 선수의 반도핑 검사를 완료하고 이상이 없음을 대산련에 보고 한 경우 해당 대회에서 실격을 받은 선수의 기록은 삭제된다.
17. 리드 등반 중 심판이 선수의 등반을 중단하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심판은
A) 다음과 같은 경우 선수의 시도가 종료되도록 명령해야 한다.
1) 선수가 더 이상 진행하는 것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2) 선수가 다음을 한 경우
a) 등반허용시간 초과
b) 등반을 시작한 후에 신체가 지면과 접촉 또는 바닥으로 돌아온 경우
B) 다음과 같은 경우 등반을 종료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1) 선수가 더 이상 정당한(유효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2) 기술적 사고가 발생한 경우
18. 루트 관찰시간중 선수가 할수있는 행위를 설명하시오.
리드의 경우 루트관찰 절차
B) 준결승 라운드와 결승 라운드는 해당 경기 전 선수들을 위한 6분의 단체 관찰시간이 선행되어야 한다.
1) 관찰 시간 동안에 선수는 다음이 허용된다.
a) 지면을 떠나지 않은 상태에서 루트의 첫 번째 홀드만 만질 수 있다.
b) 루트관찰을 위하여 망원경을 사용할 수 있다.
c) 수기로 그림을 그리거나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 어떤 기록장비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관찰시간이 끝나면, 선수들은 대회 임원의 지시에 따라 격리구역이나 트렌짓존으로 돌아가야 한다.
볼더링 관찰 절차
A) 예선 라운드와 준결승 라운드는 별도의 관찰시간이 없다.
B) 결승 라운드는 해당 경기 전 각 볼더 당 2분의 단체 관찰시간이 선행되어야 한다.
1) 관찰시간 동안, 선수들은(※두발이 바닥을 떠나지 않은 채) 출발홀드만 만질 수 있고 어떤 기록장비도 사용할 수 없다.
2) 관찰시간이 끝난 후, 선수들은 KAF경기임원(심판)의 지시에 따라서 격리구역 또는 트랜짓존으로 돌아가야 한다.
C) 각 볼더의 사진이나 스케치를 격리구역 또는 관련있는 볼더의 트랜짓존에 게시할 수 있다.
2021년 2022년 실기문제는 공통으로 나왔읍니다
등반, 확보수준은 5.9 정도의 난이도
교육의 정도를 보는거 같은
등산학교 교재에 나오는 데로 진행하면 무난함
(크로스체크 필수, 스파킹 필수, 퀵도르 하나걸면 15도 옆으로 빠져서 확보,선등자 1번 퀵도르 걸고 1번통과 외치기, 확
보자 선등자 등반완료 후 하강 시켜주고 나서** 절대 확보된 상태로 선등자가 8자 매듭. 다 풀때까지 확보자는 장비 해
체하지 않고 기다립니다) 확보해재 하면 안됨
주의사항등반 실기에서
수험표 순번으로 입장하기 때문에 내가 아는 빌레이기구로 확보를 볼수있고 그렇지 않을수도 있읍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나이많을수도 있고 어릴수도 있고. 여성일수도 있읍니다~그렇기 때문에 등반자 확보자의 역활을 처음
배울때 교재처럼 상대방거 당겨보고 확실하게 체크하시길. 바랍니다(생각보다 여기서 실수가 많이 발생합니다 빌레이
반대로장착. 로프벨트에 통과미숙, 8자 매듭 부족 등등)
응급처치심폐소생술 삼각근 처치방법
일반등산스틱사용법 보행법 배낭꾸리기 등등 입니다
Subscribe via RSS